2016년 9월 10일 토요일
연하천 대피소는 최악이었다. 오후 9시에 소등을 했는데, 밤새도록 사람들이 왔다갔다했다. 간단한 목구조의 2층 침상은 아무래도 삐걱거릴 수밖에 없다.
그래도 다른 사람들이 자는 걸 알면 살금살금 걸어야 하는 게 맞는데, 아무도 신경을 안쓰는 것 같았다.
몸은 피곤한데 소리때문에 1시간 30분 간격으로 깨니까 화가 나기 시작했다.
새벽 3시쯤에는 정말 한마디 하려다 겨우 참았다.
그런데 참길 잘했다. 아침에 옆에서 왔다 갔다 하던 여자애들 얘기를 들으니 새벽에 별을 보고 싶어서 나갔었던 거였다.
대학 2학년쯤 되었을까? 친구들 셋이 모여 하는 지리산 종주는 오랜 추억이 되겠지.
그리고 그 나이에 보는 밤하늘에 가득한 별은 또 얼마나 감동적이겠는가.
그러니 괜히 내가 화를 안내길 잘했다.
뭐든 이렇게 조금만 참고, 조금만 상대의 입장을 생각해보면 화를 낼 일도 없는데,
현실은 그러기가 참 힘들다.
그리고 상대의 입장을 고려해보려면 상대의 진실을 알아야 하는데,
어른이 되고 사회 경험이 많을 수록 진실한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견고한 '포커페이스'를 만들려면 그럴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르겠지만...내가 너무 부정적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조금 더 현명하다면 사람들의 속뜻을 깊게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어리석어서 한치 앞밖에 못보면서 세상을 비난 할 것은 없을 것이다.
어쨌든 다음엔 연하천대피소를 피하고 싶어졌다. 언제 다시 지리산 종주를 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잠도 못자고, 화장실도 최악이었다. 환경을 생각하는 건 좋은데, 푸세식에서 일을 보는 건 너무 힘들었다.
사실 문 앞에만 가도 구역질이 나서 대피소의 화장실을 생각하면 아무것도 먹고싶지 않아졌다.
아침에 벽소령 대피소 화장실을 갔는데, 여기 화장실은 수세식이었고 냄새가 안나서 정말 좋았다.
수세식 화장실이 이렇게 감사한 줄 초등학교 1학년 이후로 처음으로 느꼈다.
그러고보기 목욕 안한지 3일째다. 생각보다 견딜만 한데 이제 머리 묶은 건 풀지 못하겠다.
다행히 땀냄새는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것 같다.
아침마다 찬물에 세수하는 것이 기분이 좋다.
연하천 대피소에서 아침을 건조 북어국블럭, 참치캔 하나, 콘 와플 9조각, 천하장사 소시지 3개로 먹고 벽소령으로 향했다.
뜨는 해를 보며 천천히 산길을 걸었다. 그래서인가 가다가 바위에 잔뜩 피어있는 석이버섯도 발견했다.
말로만 듣던 석이 버섯을 보고 만져보니 신기했다. 보드라웠다.
무엇보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에 석이버섯이 자라고 있는 것이 신기했다.
사람들은 너무 빨리 지나가 버리니까 석이버섯을 찾을 수 없었는지도.
어제 저녁엔 무릎이 너무 아팠는데 아침이 되니 또 괜찮아졌다. 잠이라는 것이 참 신기하다.
하지만 벽소령 지나서부터는 또 다시 무릎이 아프기 시작했다. 그래서 점점 더 천천히 걸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다 어제 주운 나무 지팡이도 부러졌다. 그런데 지팡이 없이 걸으니 무릎 통증이 덜해졌다. 맞지 않는 지팡이를 짚어서 그런걸까.
아픈 건 왼쪽 무릎인데 걷기도 너무 힘들고 그러니 짐이 점점 너무 무겁게 느껴졌다.
세석대피소까지 어떻게 왔는지 모르겠다. 1시 30분 정도에 도착했는데, 멍때리다보니 3시 30분이 되어버렸다.
대피소 캐노피 아래에는 테이블이 많아서 사람들이 잔뜩 모여 밥을 해먹고 있었다. 나도 뭘 좀 먹기는 해야겠고, 앉고는 싶고.. 해서 구석이 비어있는 듯한 테이블에 가서 앉아도 되냐고 물었다. 아저씨 둘이 물을 끓이고 있었는데, 다행히 옆자리에 아무도 없다길래 합석했다.
그 사람들은 여럿이 팀으로 종주를 왔다는데, 자기 둘만 당일치기 종주를 하기로 했단다. 밤차를 타고 새벽에 노고단에 올라서 세석까지 오다니.. 대단하다.
난 못할 것 같다. 하긴 하라면 하겠지만, 굳이 해야할 이유는 못느끼겠다.
살 날이 일주일밖에 안남았다면 하루정도 지리산 종주를 할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그 사람들이 버터를 발라 구운 토스트를 권하는데, 사양안하고 먹었다. 나도 너무 배가 고프기도 하고 빵이 먹고 싶었다.
평소같았으면 절대 사양했을텐데, 몸이 피곤하고 배고프니 사람이 좀 열리는 것 같기도 하다.
세석까지 오는 막바지 길에 너무 힘들어서 눈물이 났다.
마음이 아프다고 지리산에서 씻지도 못하고, 아픈 무릎으로 바위같은 배낭을 매고 산길에서 이게 뭐하는 건가.
스스로가 한심하기도 하고 몸도 힘들고 그래서 눈물이 났다.
뭐 어쨌든 이번에 지리산 종주를 하고나면 더이상 지리산 종주한 사람들의 경험이 궁금하지는 않겠지 싶었고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뭐든 한번 해보고나면 별거 아닌데, 나는 참 생각도 많고 겁도 많다.
노고단에서 연하천까지 걷는 어제의 길은 뭔가 희망적인 마음에 가득찼었는데, 오늘 세석까지 오는 길은 너무나 비관적인 마음이 가득했다.
게스트하우스에서 괜히 내 사생활이며 고민을 털어놓은 것도 너무 후회가 됐다.
저급한 호기심에 진실할 필요는 없었는데... 엎질러진 물이다.
그래도 되지도 않는 작업을 붙잡고 책상에 앉아 있느니 산에 오는 게 낫긴하다.
산에서는 생각이 단순해진다.
산에서는 다음에 어떤 돌을 밟아야 넘어지지 않을지 순간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고 실행에 옮기는 일이 전부다.
원하건 원하지 않건 끊임없이 명상을 하게된다. 산에서는
5시쯤 되니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세석평전에 고즈넉하게 내리는 비가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주었다.
하지만 몸도 너무 피곤하고 무릎도 아파서 내일 어떻게 해야할지 계속 고민이 되었다.
어차피 내 목표는 천왕봉을 정복하는 것도 아니고 천왕봉 일출을 보는 것도 아닌데
무리해서까지 천왕봉에 오를 필요가 있을까.
누워서 그런 고민을 하고 있는데 게스트하우스 사장님 문자가 왔다. 기어서라도 올라가보란다.
그래서 올라가보기로 했다. 그냥 이번에 한번으로 다 올라가버리고 더이상 동경이나 호기심을 가지지 않아버리는 것이 현명할지도 모르겠다.
상대가 그냥 던진 말을 나는 참 의미있게 해석을 했다.
내일 아침 5시쯤 떠나면 촛대봉에서 6시에 일출을 보고 천왕봉에 오른 다음 집으로 가면 얼추 시간이 맞을 것 같다.
그리고 오늘 힘든 산행길 내내 머리에 맴돌던 시가 있다.
여기에 적어놓는다.
-----
무화과 숲
-황 인찬
쌀을 씻다가
창밖을 봤다.
숲으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그 사람이 들어갔다 나오지 않았다.
옛날 일이다.
저녁에는 저녁을 먹어야지
아침에는
아침을 먹고
밤에는 눈을 감았다.
사랑해도 혼나지 않는 꿈이었다.